| 1376 |
아우구스티노의 우정론 이해- 고전 철학자들의 우정론 이해
|
140 |
313 |
| 1375 |
프란치스코 살레시오- 평신도들을 위한 우리 시대의 안내자
|
140 |
302 |
| 1374 |
나는 아쉬울 것 없어라- 시편 23,1에 대한 聖書註釋學的 硏究
|
139 |
298 |
| 1373 |
십자가의 요한을 主題로 한 避靜을 마치고
|
139 |
279 |
| 1372 |
靈性相談
|
139 |
304 |
| 1371 |
여섯째 날의 두 번째 創造- 人間實存과 暴力性의 告發(창세 1,26-30)
|
139 |
317 |
| 1370 |
倫理的 當爲의 定礎로서 칸트의 自律
|
139 |
300 |
| 1369 |
自然法의 現代的 意義
|
139 |
301 |
| 1368 |
칼 라너 神學의 총괄개념으로서의 “象徵의 神學”(Ⅲ)
|
139 |
304 |
| 1367 |
神義論으로서 神學
|
138 |
29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