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605 |
1사무의 세 본문들이 드러내는 문자적·내용적 상관성
|
170 |
272 |
1604 |
축복인가, 찬미인가 - 미사의 감사 기도에서 사용한 benedicere의 번역에 대하여
|
170 |
311 |
1603 |
기호학과 성경 연구 - 방법론의 발전과 인식론의 관점
|
170 |
341 |
1602 |
‘내 백성을 위로하여라’ - 용산 남일당 공동체의 체험과 성찰
|
170 |
278 |
1601 |
프랜시스 S. 콜린스, 「신의 언어」
|
170 |
313 |
1600 |
5·18을 기억한다
|
169 |
274 |
1599 |
계시로서의 역사 - 5·18에 대한 종교적 해석의 시도
|
169 |
314 |
1598 |
사제 독신제의 법제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현대적 의미
|
169 |
282 |
1597 |
한국 천주교회의 첫 선교사 주문모 신부의 활동과 사제상
|
169 |
282 |
1596 |
기도의 준비로서의 루이 랄르망의 마음 지킴
|
169 |
3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