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1666 | 
					
						
							 그리스도교 신앙 전통의 해석학적 기반: 현시와 선포
						
					 | 
					177 | 
					391 | 
				
							
					| 1665 | 
					
						
							 신학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성찰: 한국적 사회참여 신학을 위하여
						
					 | 
					177 | 
					364 | 
				
							
					| 1664 | 
					
						
							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사제 독신의 역사 비교: A.D. 200-800년 교구 사제직 전통을 중심으로
						
					 | 
					177 | 
					380 | 
				
							
					| 1663 | 
					
						
							 무교(巫敎)와 천주교 종교 의례의 상호 소통 구조에 대한 고찰: 조선 후기의 접촉을 중심으로
						
					 | 
					177 | 
					395 | 
				
							
					| 1662 | 
					
						
							 ‘in persona Christi’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
						
					 | 
					177 | 
					385 | 
				
							
					| 1661 | 
					
						
							 사제 직무의 본질
						
					 | 
					177 | 
					386 | 
				
							
					| 1660 | 
					
						
							 서평: 「여가와 경신」
						
					 | 
					177 | 
					398 | 
				
							
					| 1659 | 
					
						
							 루카복음 4,1-13의 구약 성경 인용문 연구
						
					 | 
					176 | 
					395 | 
				
							
					| 1658 | 
					
						
							 인간의 실존과 계시: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을 바탕으로
						
					 | 
					176 | 
					372 | 
				
							
					| 1657 | 
					
						
							 쟈크 뒤퓌의 종교다원성의 신학
						
					 | 
					176 | 
					38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