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논단]
- Visio Dei, sequela Dei: 탈출 33,1-23에 대한 주석적-신학적 연구
- 근대적 주체의 정당성과 그 한계: 블루멘베르크와 발타사르의 주체 개념 비교
- 교회 생활에서 희망에 대한 교의신학적 접근
- 아감벤의 ‘사용’ 개념에 따른 삶의 양식: 어떤 신학적 시선
[번역]
- 신경의 셋째 조항, 교회의 삶 안에서 성령론적 영향
- 창세기의 세 가지 아내-누이 이야기
[영성생활]
오수나의 프란치스코의 영성과 그에 대한 아빌라의 데레사의 수용
|